From "Corticobasal degeneration and corticobasal syndrome: A review", V.C. Constantinides et al., Clinical Parkinsonism & Related disorders, 2019.
1. 용어
피질기저핵변성(CBD, Corticobasal degeneration)과 피질기저핵증후군(CBS, Cortico-basal syndrome)의 구분
피질기저핵변성은, 병리학적 증거에 따른 "질병"에 대한 정의이며,
피질기저핵증후군은, 임상 양상에 다른 "질환군"에 대한 정의.
즉, 피질기저핵증후군은 피질기저핵변성일 수 있으면서도 다른 질환일 수 있고
피질기저핵변성은 피질기저핵증후군처럼 나타날 수 있으나, 다른 임상 양상을 나타낼 수도 있다.
참고로, CBD는 CBS 외에도, Primary progressive aphasia(PPA), PSPS(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like syndrome), FBS(Frontal behavioral-spatial syndrome) 처럼 나타날 수도 있고,
CBS는 CBD 외에도, AD(Alzheimer's disease), PSP(Progressive supranuclear palsy), FTD(Frontotemporal dementia)의 일환으로 나타날 수도 있다.
2. 임상 양상
Corticobasal syndrome은 크게, 피질 증상과 추체외로 증상으로 구분할 수 있다.
2-1 피질 증상
1. Apraxia
Clinical hallmark이며, 다른 질환(PSP, AD)에 비해 그 중증도가 심각함.
근위부보다 원위부에서 증상이 더 심하며, Limb-kinetic apraxia 양상으로 나타남.
2. Alien-limb syndrome
Posterior (Sensory) variant와 Anterior (Motor) variant가 있으며,
sensory의 경우 Sensory hemi-neglect 양상으로,
motor의 경우 침범된 팔이 정상 팔을 방해하는 양상으로, 말그대로 내 팔(침범된 쪽)이 내 팔(침범되지 않은 쪽)을 자꾸 방해하는 모습을 보인다.
2-2 추체외로 증상
1. Parkinsonism
편측으로 나타나는 경향이 아주 강하다. 즉, 양측을 침범하기 쉽지 않다는 뜻.
Levodopa에 대한 reponse가 약하다.
Tremor 동반될 수 있으나, 비전형적. action/postural tremor 이면서, myoclonic component를 가짐.
2. Dystonia
40%에서 나타남.
주로, upper limb에 국한. Cervical/Lower limb/blepharospasm은 흔치 않다.
3. Myoclonus
Cortical reflex type.
sensory cortex에서 넘어오는 inhibitory input이 약해서 그런 것으로 추정.
3. 병리
먼저, Tauopathy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함.
Neuronal axon과 Glia에 비정상적으로 침착된 Tau protein에 의한 병으로,
CBD, PSP, FTD, AD의 일부가 여기에 속함.
Tau protein은 6개의 Isoform을 갖는데, 3R(repeat)- or 4R- Microtubule이 부착되는 포인트에 따라 구분되고, 이는 MAPT(Microtubule associated protein tau) gene에 의해 coding됨.
3R tauopathy는 FTD
4R tauopathy는 CBD, PSP
3R/4R tauopathy에는 AD가 있음.
그렇다면 위 여러 Tauopathy 간의 구별 및 감별진단은 어떻게 진행되느냐?
침범한 위치뿐만 아니라, 각각의 현미경 병리마다 특징적인 소견이 있다고 함.
CBD의 특정적인 병태생리는
1) Astrocytic plaque
2) Achromatic neuron
이라고 하며, 위 소견이 주로 Cortical gray matter (주로 Dorsorateral prefrontal cortex, posterior cortex 쪽) 및 Basal ganglia를 침범한다고 함.
4. 영상 / 검사실 소견
여러 Modality가 있겠으나, 아무래도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MRI > PET > CSF 등인 것으로 보이며
CSF finding에 대해선 아직까지 Controversy가 있음.
MRI 소견
- Hallmark: Asymmetric cortical atrophy
특히나, Peri-rolandic region (Central gyrus 전후 영역) > Posterior frontal/parietal lobe을 침범한다.
물론 상기 소견이 임상 증상과 matching 되어야하겠다.
- 3D PD(Proton density) 영상에서 Abnormal HSI(High signal intensity)가 보이고, 이는 axonal injury에 따른 secondary demyelination을 시사함.
- Basal ganglia atrophy 소견도 보일 수 있는데, Putamen의 postero-lateral border에 잘 나타나며, T2 HSI로 보임.
- CBS를 구성하고 있는 기저 병태생리(CBD, PSP, FTD, AD) 등에 따라 main atrophic lesion이 달리 나타남.
5. 치료
일단, 질병의 경과를 치료제는 아직까지 없다.
따라서 대증적(symptomatic care) 치료만 할 뿐.
Parkinsonism에 대해선 Levodopa를 쓸 수 있으나, poor/transient response를 보이며,
Dystonia에 대해선 Botox를,
Myoclonus에 대해선 Clonazepam을 써볼 수 있다.
인지기능개선에 대해선 아직까지 효과가 입증된 것은 없으나,
AD에서 쓰는 것처럼 AChE inhibitor를 써볼 수 있겠다.
'Neurology > Movement' 카테고리의 다른 글
Essential Tremor / 본태성 떨림 / 본태성 진전 (0) | 2022.01.02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