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urology/Peripheral nervous system disorders

근전도검사의 해석 (1) EMG Interpretation

From 21년도 추계 학술대회 전공의교육

 

EMG 분석은 크게 세 개의 파트로 나뉘어진다.

 

Needle을 찌르며 들어갈 때 나오는 Insertional activity,

Insertion을 마친 뒤 가만히 있는 근육에서 나오는 Spontaneous activity,

그리고 힘을 줄 때 나오는 Volitional activity.

 

추가로 힘을 최대로 주면서 오랫동안 확인하는 Quantitative analysis 가 있다.

 

앞서 NCS와 마찬가지로 임상적 판단(Clinical impression) 없이 근전도 단독으로 진단을 내리진 않는다.

 

1] Insertional Activity

 근육에 바늘을 찌를 때 나오는 반응이다.

 Needling에 의한 기계적 자극에 의한, 근육의 Short depolarization 을 의미한다.

 이때 Positive or Negative potential로 나올 수 있고, 보통 Duration 은 300ms를 넘지 않는다.

 

 Insertional activity (IA) 소견은

  increased, decreased, normal로 구분된다.

 

 1-1)

 Increased IA는 Duration이 300ms 가 넘도록 반응이 계속 나올 때를 의미하고, needling을 멈춰도 계속 나오는 경우다.

 근육의 membrane hyper-excitability를 의미하므로, 이를 나타날 수 있는 질환에서 모두 나올 수 있겠다.

 

 1-2)

 Decreased IA는 바늘을 찔러도 IA가 나오지 않을 때를 말한다. 대부분 Atrophy가 너무 진행되었거나, fibrous tissue, adipose tissue 등이 많을 때 니들링을 해도 반응이 없다. Fibrous tissue를 찔렀을 때 나오는 반응이 특징적이다.

 Hyperkalemic PP (periodic paralysis) 의 ictal phase에서도 decreased IA를 보일 수 있다.

 

 

 

 

 

'Neurology > Peripheral nervous system disord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전도검사의 해석 (3)  (0) 2022.02.06
근전도검사의 해석 (2)  (0) 2022.02.05
Martin-Gruber Anastomosis  (0) 2021.12.29
Blink reflex  (0) 2021.12.15
Progressive bulbar palsy  (0) 2021.12.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