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m 2022년도 대한임상신경생리학회 연수강좌
Nerve Conduction Study(신경전도검사)
NCS의 목적
1) 병변의 위치 확인(Localization)
2) 병태생리확인
3) 1,2)를 통한 감별진단 수립
4) 질환의 중증도 및 예후 평가, 치료 효과 판정
NCS/EMG 검사 시 꼭 염두에 두어야할 점
1) NCS, EMG는 Clinical Ex.의 연장선이다. 즉 검사만으로 진단하려들지 말 것
2) 검사결과가 Impression과 맞지 않을 경우, 검사가 잘못 진행된 건 아닌지
3) 그래도 맞지 않는다면 환자를 다시 검진해볼 것이며
4) 그래도 맞지 않을 경우 넘겨지지 말 것
검사 전 Setting 요소
1) Filter
- High frequency filter
- Low frequency filter
- 축전기 및 저항의 구성 방법에 따라 filter 만들 수 있음
- HFF를 낮출수록 Noise를 줄일 수 있으나 너무 줄이면 SNAP같이 Amp 작은 것의 정상값이 낮게 나타날 수 있다
- LFF를 높일수록 Noise를 줄일 수 있으나 이것도 위와 마찬가지
- LFF/HFF setting 은 CMAP의 경우 1-10Hz/5-10kHz, SNAP은 10-20Hz/2-5kHz임
Motor NCS는 motor nerve Axon 자극해서, Muscle reponse를,
Sensory NCS는 sensory n. axon 자극해서, peripheral nerve의 반응을 recording 하는 것임.
Motor NCS 검사의 원칙은
1) belly-tendon method를 할 것
2) Supramaximal nerve stimulation을 할 것
이렇게 해서,
Latency/Amplitude/Duration/Area 값을 얻어냄.
motor CV값을 얻어내려면 반드시 두 군데에서 자극, latency diff를 통해 CV를 계산해야함.
왜냐하면 latency 안에 신경전도구간에서 소요된 시간뿐만 아니라, NMJ, MUP generation 등 myelinated fiber외 다른 구조물에서 소요되는 시간까지 포함되기 때문.
Amp/Area가 의미하는 건 자극 시 depol.된 muscle fiber의 숫자를 의미하고,
큰 것보단 작은 게 의미 있는데 이것은
1) Axonal loss
2) Conduction block
3) Myopathy
4) NMJ disorder
등을 의미함.
특히나 Area까지 낮은 값을 보인다면, demyelination에 의한 block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음
Duration은, synchrony 즉, 자극 시 fiber의 firing이 함께 진행되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임.
Sensory NCS의 경우,
자극 방법(cathod/anode의 배열)에 따라 sensory nerve의 전도 방향에 맞춘 Orthodromic과 Antidromic으로 나눌 수 있음
motor NCS처럼
1) Supramaximal stim.이 원칙
2) 다만, Response가 약해서, multiple stim. 통한 Averaging 으로 결과값 산출하기도
다른 점은, CV 계산 위해 두 군데서 자극하지 않아도 된다.
다만, stim. site-recording site의 거리와 latency로 CV를 계산함.
Demyelination을 시사하는 소견
1) motor latency가 정상치의 2배 이상 증가
2) motor CV가 정상치에서 30% 이상 깎여나갈 때
3) partial motor CMAP block - prox.가 distal에 비해 50% 감소
4) Temporal dispersion - prox/distal CMAP의 Duration 비율이 30% 이상 증가
그외 F-wave absence, distal CMAP duration increase가 있음
이때 CIDP나 AIDP같은 segmental demyelination과, CMT type1과 같은 diffuse dysmyelination을 구분할 수 있어야함.
Dysmyelination의 경우, 진폭도 속도도 전장에 걸쳐 떨어져 있다.
후기 반응(Late response)
1. F-response
- Foot 에서 유래
- CMAP 자극 이후에 나오는 late motor response로,
- Anterior horn cell 일부의 back firing을 의미함.
- Recording은 Gain만 높여서, 여러번 자극 후 가장 빠른 response의 latency를 측정
유용성 - 제한적
- Early polyradiculopathy에서 유용함
- HIVD로 인한 Radi에서는 유용하지 않음 - 신경침범이 잦기 때문이고, 근육도 여러 myotome에서 기원하기 때문
2. H-reflex
- Hoffman(사람임)에서 유래 =
- sensory 1A fiber > synapse > motor efferent의 반응경로를 recording
- 재현성이 높은 하지, 특히나 tibial nerve에서 주로 시행함
(tibial n. in popliteal fossa > cord > Gastrocnemius or soleus)
>> Ankle jerk의 경로라고 생각하면 됨
- setting은 F와 비슷하게
- 자극 세기를 높일수록 motor N axon이 반응할 가능성 높아짐 > submaximal stim. 으로 해야함
3. 그외 Axon reflex (A-reflex) 라는 것도 있음.
- M-wave/F-response 사이 나타나고,
- 나타날 경우 Reinnervation을 시사함
검사 시 유의사항
1. Supramaximal stim. 시 너무 쎈 자극을 주지 말 것
- latency 측정 오류 (짧아짐)
2. Belly-tendon을 잘 지킬 것
- 지키지 않으면 CMAP 감소
3. Recording site 제대로 부착
- latency 오류
4. Gain 너무 높이지 말 것
- Latency 측정 오류
5. Active/reference electrode 간격 잘 지킬 것
- Amplitude 측정 오류
6. Cathode position
- Latency 연장되며 CV 측정 오류 (약 10m/s 가량)
7. Ulnar nerve 처럼 Limb position 중요
- Latency 연장
- Ex) Ulnar, Radial n. in spiral groove
8. Anomalous anastomosis 에 주의
- Martin-Grueber
- Accessory peroneal nerve
9. 체온!!!
- 사지 온도 떨어질수록 CV가 감소되어서 나옴.
- 적정 온도가 아주 중요
- 특히나 sensory CV에서 high Amp., long duration에 slow CV가 나온다면 의심해볼 것
> 자칫하면 polyneuropathy, distal entrapment neuropathy, Axonal neuropathy를 demyelination으로 오인 가능
10. 연령
- 60세 이후 CV가 현저히 느려지기 시작
- 특히나 sensory CV
- Decade 당 0.5-4m/s 정도
- SNAP도 고령에서 상당히 감소, 70세 정도 되면 절반까지도 감소 가능. 특히나 하지.
'Neurology > Peripheral nervous system disord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전도검사의 해석 (3) (0) | 2022.02.06 |
---|---|
근전도검사의 해석 (2) (0) | 2022.02.05 |
근전도검사의 해석 (1) EMG Interpretation (0) | 2022.02.05 |
Martin-Gruber Anastomosis (0) | 2021.12.29 |
Blink reflex (0) | 2021.12.15 |